반응형
어떤 증상이 있을 때 어디로 가야 할까요?
소화기 내과를 방문해야 할 때
- 소화불량, 속쓰림, 복통이 지속될 때
- 대변 습관이 변했거나 혈변이 있을 때
- 황달 증상이 있을 때
- 정기적인 위·대장 내시경 검사가 필요할 때
- 만성적인 소화기 질환(위염, 과민성 대장증후군 등)이 있을 때
소화기 외과를 방문해야 할 때
- 갑작스러운 심한 복통이 있을 때(특히 맹장염 의심 시)
- 탈장이 의심될 때
- 소화기 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이 필요할 때
- 담석으로 인한 심한 통증이 있을 때
- 복부에 외상을 입었을 때
소화기 내과와 소화기 외과의 차이는 진료 방법과 치료 범위에서 명확히 구분됩니다.
치료 접근법
1. 소화기 내과
- 소화기 내과: 약물 치료, 내시경 시술, 영상 검사 등 비수술적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위염, 간염, 췌장염, 염증성 장질환 등 소화기계 질환을 진단하고 관리합니다.
1-1. 위장관 질환
- 상부위장관: 역류성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 궤양, 위암, 십이지장궤양
- 하부위장관: 대장용종, 대장암, 변비, 과민성 대장증후군, 염증성 장질환(궤양성 대장염·크론병), 장결핵
1-2. 간질환
- 급·만성 간염(바이러스성·알코올성), 지방간·지방간염, 간경변증, 간암
1-3. 췌장 및 담도계 질환
- 담석증, 담낭염, 담도암, 급·만성 췌장염, 췌장암
1-4. 기타 소화기 관련 질환
- 기능성 소화불량, 장폐색, 위·대장 조기암(내시경적 절제술로 치료)
소화기 내과는 내시경 검사를 통해 조기암 진단, 용종 절제, 출혈 치료 등 비침습적 시술을 주로 수행하며, 복합적인 경우 외과·영상의학과와 협진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도 합니다
2. 소화기 외과
- 소화기 외과: 복강경 수술, 개복 수술 등 외과적 절차를 통해 위암, 대장암, 담석증, 탈장 등 수술이 필요한 질환을 치료합니다.
2-1. 양성 질환
- 위장관: 식도열공 탈장, 위·대장 용종, 충수염(맹장염), 서혜부 탈장
- 담도계: 담낭염, 담석증
- 기타: 복부 외상, 장폐색, 위·장 천공
2-2. 악성 종양
- 식도암, 위암, 대장암, 직장암
-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 위장관기질종양(GIST), 복막암
2-3. 수술 유형
- 복강경/로봇 수술: 서혜부 탈장, 담낭절제술, 위·대장암 절제술
- 개복수술: 진행성 암종, 복합적 복부 외상
- 지원 시술: 위루관 삽입, 중심정맥 영양관 관리
2-4. 협진이 필요한 질환
- 염증성 장질환(크론병·궤양성 대장염): 외과적 절제술 필요 시
- 간담도·췌장 질환: 복합적 수술 접근
진료 영역
- 내과: 식도·위·장·간·담낭·췌장의 기능적 이상이나 감염성·염증성 질환을 다룹니다. 내시경을 이용한 조기암 제거나 지혈 시술도 수행합니다.
- 외과: 소화기암의 절제, 장폐쇄·천공 등 긴급 수술, 비만 대사 수술, 복강 내 병변의 물리적 제거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합니다.
협업 시스템
복합적인 경우(예: 진행성 암)에는 내과와 외과가 협진하여 내시경적 중재 치료와 수술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일부 병원에서는 두 과를 통합해 원스톱 진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소화기 질환은 우리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 문제예요. 증상이 가볍더라도 지속된다면 적절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소화기 내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좋고, 필요시 외과 진료를 받게 될 수 있어요.
여러분의 소화기 건강을 위해 정기적인 검진도 잊지 마세요! 특히 40대 이상이라면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을 통해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을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소화기 건강을 지키시고, 이상 증상이 있으면 망설이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주세요! 💪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의 니즈와 감정을 이해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1) | 2025.04.11 |
---|---|
홈텍스 바로 가기 (0) | 2025.03.19 |
2025년 화학물질관리법 확인하세요 (0) | 2025.02.17 |
2025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공고확인하고 신청하세요 (1) | 2025.01.23 |
로그인 안하고 그림 이미지 속 일부 지우는 방법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