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엑셀에서 날짜를 요일로 바꾸는 방법 3가지방법 추가

konglim 2025. 8. 12. 11:17
반응형
엑셀 날짜를 요일로 바꾸는 방법, 고민하고 계신가요? 날짜 데이터를 요일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분석하는 세 가지 핵심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꿀팁들을 확인해 보세요!

엑셀로 데이터를 정리하다 보면 날짜를 요일로 바꾸고 싶을 때가 정말 많죠? 특히 업무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일정을 관리할 때, 그냥 '2025-08-12'라고 쓰는 것보다 '화요일'이라고 표시하는 게 훨씬 직관적이고 보기 좋잖아요. 그런데 막상 하려니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저도 많이 겪었답니다. 다행히 엑셀에는 날짜를 요일로 변환하는 여러 가지 유용한 방법들이 있어요. 오늘은 가장 쉽고 효과적인 세 가지 방법을 제 경험과 함께 자세히 소개해 드릴게요! 😊

 

1. 가장 보편적인 방법: TEXT 함수 활용하기 📝

엑셀에서 날짜를 요일 텍스트로 바꾸는 가장 일반적이고 강력한 방법은 바로 TEXT 함수를 사용하는 거예요. 이 함수는 날짜 값을 '월요일', '화요일'과 같은 텍스트 형태로 변환해 주기 때문에, 변환된 요일 텍스트를 다른 셀이나 함수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어요.

💡 TEXT 함수 기본 형식
`=TEXT(날짜, "표시 형식")`
`날짜`는 변환하려는 날짜 셀 또는 날짜 값, `"표시 형식"`은 요일을 어떻게 보여줄지 지정하는 코드예요.

예를 들어, A1 셀에 2025-08-12가 입력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식으로 요일을 표시할 수 있답니다.

입력 함수 결과 설명
`=TEXT(A1, "aaaa")` 화요일 한글 전체 요일
`=TEXT(A1, "aaa")` 한글 약식 요일
`=TEXT(A1, "dddd")` Tuesday 영어 전체 요일
`=TEXT(A1, "ddd")` Tue 영어 약식 요일

 

 

2. 셀 서식으로 표시만 바꾸기 📊

때로는 날짜 값 자체는 그대로 두고, 화면에 보이는 형식만 요일로 바꾸고 싶을 때가 있어요. 예를 들어, 날짜를 기준으로 필터링하거나 정렬은 계속하면서 요일 정보만 추가로 확인하고 싶을 때 말이죠. 이럴 때는 사용자 지정 서식이 정답입니다!

설정 방법 따라하기 📌

  1. 날짜가 입력된 셀을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셀 서식'을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 + 1을 누릅니다.
  2. '표시 형식' 탭에서 '사용자 지정'을 클릭합니다.
  3. '형식' 입력란에 원하는 요일 표시 코드를 입력하면 끝!

예시) `yyyy-mm-dd(aaaa)`를 입력하면 '2025-08-12(화요일)'로 표시됩니다.

⚠️ 주의하세요!
이 방법은 셀의 보이는 형식만 바꾸는 거예요. 실제 셀이 가진 값은 여전히 날짜 데이터이기 때문에, 만약 요일 텍스트 자체를 다른 곳에 복사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텍스트로 변환하는 TEXT 함수를 사용하는 게 더 좋습니다.

 

 

3. CHOOSE와 WEEKDAY 함수 조합하기 🔢

 

좀 더 고급스러운 맞춤형 요일 표시가 필요하다면 CHOOSE 함수WEEKDAY 함수를 조합해 보세요. WEEKDAY 함수가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 번호(1~7)를 반환하면, CHOOSE 함수가 이 번호에 따라 미리 지정한 텍스트를 선택해서 보여주는 원리입니다.

함수 구조 이해하기

=CHOOSE(WEEKDAY(날짜, [옵션]), 값1, 값2, 값3, ...)

  • WEEKDAY(날짜, [옵션]): 날짜의 요일을 숫자로 반환합니다.
  • CHOOSE(인덱스 번호, 값1, 값2, ...): 인덱스 번호에 해당하는 값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WEEKDAY 함수의 옵션이 생략되면 일요일이 '1', 월요일이 '2', 화요일이 '3'이 됩니다.

만약 A1 셀의 날짜를 요일로 바꾸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함수를 입력할 수 있어요.

💡 예시 함수
`=CHOOSE(WEEKDAY(A1),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 A1이 '2025-08-12(화요일)'이라면, WEEKDAY 결과는 '3'이 되고 CHOOSE는 세 번째 값인 "화요일"을 반환합니다.

이 방법은 단순히 요일을 표시하는 것을 넘어, "평일", "주말"처럼 특정 조건에 따른 텍스트를 표시하거나, 요일에 따라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등 응용 범위가 넓어요. 저는 복잡한 일정표를 만들 때 이 방법을 자주 사용하곤 합니다.

 

 

엑셀 요일 변환, 이렇게 기억하세요! 📝

자, 지금까지 엑셀에서 날짜를 요일로 바꾸는 세 가지 방법을 알아봤어요. 각 방법의 핵심을 다시 한번 정리해 드릴게요!

  1. TEXT 함수: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날짜를 요일 텍스트로 완전히 변환하여 다른 함수나 셀에서 활용할 때 유용해요.
  2. 셀 서식: 날짜 값은 그대로 두고 화면에 보이는 형식만 요일로 바꾸고 싶을 때 사용해요. 날짜를 이용한 계산을 계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3. CHOOSE + WEEKDAY 함수: 요일 번호를 이용해 맞춤형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고급 방법이에요. 특정 조건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답니다.

어떤 방법이 가장 좋다고 단정하기보다는, 내가 하고자 하는 작업의 목적에 맞게 골라 쓰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인 것 같아요. 오늘 배운 내용을 활용해서 엑셀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보세요! 😊

 

💡

엑셀 요일 변환 핵심 요약!

TEXT 함수: 날짜를 원하는 형식의 요일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셀 서식: 데이터는 그대로! 보이는 형식만 요일로 바꿉니다.
CHOOSE + WEEKDAY 함수: 요일 번호를 이용해 맞춤형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초보자도 가능: 각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엑셀 작업 효율이 2배로 올라갑니다!

 

자주 묻는 질문 ❓

Q: TEXT 함수로 변환한 요일을 계산에 사용할 수 있나요?
A: TEXT 함수로 변환된 값은 '텍스트'이기 때문에, 날짜를 기준으로 하는 더하기/빼기 같은 숫자 계산에는 사용할 수 없어요. 계산이 필요하다면 셀 서식 방법을 이용하거나, 변환 전에 별도로 계산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Q: 셀 서식으로 요일을 표시했는데, 왜 다른 함수가 인식을 못 하나요?
A: 셀 서식은 오직 시각적인 부분만 바꾸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셀의 실제 값은 여전히 날짜 데이터로 남아있어서, 엑셀의 다른 함수들은 요일 텍스트가 아닌 원래의 날짜 값을 인식하게 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그럼 오늘도 즐거운 엑셀 작업 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