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소통잘하는 법은 OO동기와 OO동기를 잘 활용하는 것

konglim 2024. 11. 10. 17:57
반응형

소통이란?

인지심리학에서 말하는 소통이란?

상대방과 나를 통해 스스로의 욕구를 완성해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합니다. 
욕구, 즉 동기(motivation)는 인간에게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소통을 잘 하려면?

자신과 타인의 욕구를 충족시키위해 소통을 잘 하려면?

인간의 두 가지 욕구가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간에게는 좋아하는 것을 추구하는 욕구인 접근 동기와 싫어하거나 두려워하는 것을 피하거나 예방하려는 욕구인 
회피 동기가 있습니다. 
대화나 소통 또는 일의 종류에 따라서

일을 더 잘하게 만드는 경우는 따로 있고, 이는 어느 동기를 자극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접근 동기를 사용해야 할 때 회피 동기를 사용하거나, 

회피 동기를 사용해야 할 때 접근 동기를 사용하게 되면 말하는 사람이 진심으로 말할수록 상대방은 더 의심하게 되고 일의 경우 노력해도 일이 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접근동기 (Approach Motivation):

접근동기는 긍정적인 결과나 보상을 추구하려는 동기입니다. 즉, 사람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행동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공부하거나,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위해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접근동기의 예입니다. 이 경우, 사람은 긍정적인 경험이나 성취를 목표로 삼고 행동합니다.

회피동기 (Avoidance Motivation):

회피동기는 부정적인 결과나 고통을 피하려는 동기입니다. 즉, 사람은 원치 않는 상황이나 결과를 피하기 위해 행동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시험에서 떨어지지 않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거나, 불편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특정 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것이 회피동기의 예입니다. 이 경우, 사람은 부정적인 경험이나 실패를 피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행동합니다.

 

시간과 상호작용?

 

일이나 상대방과 소통할 때 접근 동기로 접근할지, 회피 동기로 접근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자신이 가진 동기에 따라 어떤 일을 잘 할 수도 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동기를 
선택하느냐는 시간과 밀접한 상호 작용을 통해 결정됩니다. 


결과를 빨리 볼 수 있는 당장 해야 되는 현재의 일은 회피 동기로 오래 해야 되는 일이거나 결과가 먼 
미래 의 나타나는 일은 접근 동기로 접근해야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즉 현재냐 미래냐의 시간의 따라 선택하는 동기가 달라져야 합니다. 


사람에 따라 시간의 길이는 다르게 느끼게 됩니다. 

아이들은 미래의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접근 동기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나이 든 사람들은 미래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호피 동기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짧기 때문에 미래에 대해 변하지 않는다고 느끼고 미래의 변화가 크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꿈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직전에 성공을 이룬 사람들은 미래는 변하지 않는다고 예측하기 때문에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세상이 바뀌면 안 된다는 회피 동기, 아직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가지고 싶은 것이 많은 접근 동기가 스스로에게 주요한 동기가 됩니다.

 

나와 우리의 대화

접근 동기와 회피 동기와 상호 작용하는 요인으로 자아가 있습니다. 
'나'라는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는 좋아하는 것을 가지고 싶은 접근 동기를 선호하고 

'우리'라는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는 싫어하는 것을 피하고 싶은 회피 동기를 선호합니다. 

 

그래서 일대일로 대화할 때는 접근 동기로 여러 사람과 대화할 때 회피 동기의 대화가 적합합니다. 

 

'나'라는 개념이 우세하거나 활발해지면 '무언가 좋을 것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생각에 무게가 더해지고, 반면 '우리'i 라는 개념이 더 활발하거나 중요하게 거론되면 '무언가 좋지 않은 것을 피하거나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한 가치관으로 자리 잡게 된다는 것입니다. 


나와 '우리'에 맞는 동기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하고 효율적인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기쁨과 행복을 위해 기발하고 창의적인 일을 도모하는 접근 동기로 해야 하는 일은 나가 중심이 되도록 동기 부여하고, 반대로 실수하지 않고 긴급하게 처리해야 되는 회피 동기로 해야 하는 일은 '우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잘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나"와 "우리"에 맞는 동기를 선택하는 것만을도 다양하고 효율적인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